맥에서 윈도우 NTFS 파일 사용하기, 마운티(Mounty)로 간편하게!
- My Apple Story/Tip
- 2015. 2. 10. 07:00
맥에서 윈도우 NTFS 파일 사용하기, 마운티(Mounty)로 간편하게!
맥(OSX)와 윈도우가 쉽게 만나지 못하는 접점은 파일 포맷일 것입니다. 윈도우에서 많이 사용하는 NTFS 포맷이 맥에서는 읽기만 인식되기 때문이죠. 물론 반대로 맥의 맥저널 포맷이 윈도우에서는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유료 무료 어플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많은 지인들의 물음에 대한 대답은 가능하면 클라우드를 활용하라는 대답을 해왔습니다. 어떻게 활용을 하더라도 파일들이 꼬이고 양쪽 시스템들이 불안해져서 가능한 사용을 자제한 것이죠. 하지만, 이번에 마운티(Mounty)라는 상당히 재미있는 어플을 발견했습니다.
마운티, 작다. 깔끔하다. 강력하다!
마운티의 특징을 우선 요약해드리면 필요할 때
마운티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찾아서 다운 받으셔도 되고
애플 앱스토어에서 샌드박스 방식으로 외부장치를 마운트하는 권한 때문에 통과되지 않자, 샌드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전환해서 무료로 배포하기로 결정했다고 하는군요. 파일을 응용프로그램에 넣어주고 실행을 합니다.
마운티를 실행하면 메뉴바에 아이콘이 등장하고 직관적인 색으로 상태를 손쉽게 알려줍니다.
- 검은색 - 비활성화
- 녹색 - 활성화(마운트 할 대상 발견)
- 파란색 - 마운트 상태(쓰기 가능)
- 빨간색 - 에러
실제로 한번만 사용해보면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익히지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마운티, NTFS가 필요할 때만 꺼내서 활용하자.
마운티를 실행하자마자 두 개의 하드를 바로 잡아냈습니다. 이 하드들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윈도우를 위한 하드들이고 평소에도 마운트는 되어 읽기는 가능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리마운트를 시키는 작업을 물어보는 것이죠. USB를 연결해도 바로 위와 같이 OSX의 알림으로 알려줍니다.
둘 중에 하나를 리마운트 시켜봤습니다. 메뉴의 내용이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리마운트를 시키면 파인더가 재시작을 하는데, 이 때 파인더의 왼쪽에서 보이던 하드가 사라지기도 하더군요.
조금 더 확인을 해봐야겠지만 일단 내부에서 연결된 하드는 사라지더군요. 만약 이렇게 USB나 외부저장장치가 사라진다면 메뉴에서
하지만,
마운티를 사용하며 잊으면 안될 몇 가지
마운티가 작고 강력하지만 주의점이 있습니다. 장치를 제거할 때
윈도우에서도 맥에서도 USB나 하드를 제거할 때는
마운티(Muonty), 잠깐 사용해보니 이 녀석 물건입니다. 괜히 OS에 무겁게 설치하고 시스템을 건드리게 아니라 터미널 명령어로 실행되는 부분을 손쉽게 앱으로 옮겨놓은 것 뿐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상당히 강력합니다. 기존에 사용해봤던 다른 어플들보다 손쉽고 설치 과정이 없으니 오히려 안전하고 깔끔합니다. 저도 활용하며 좀 더 테스트를 해봐야겠지만 지금까지 맥에서 NTFS 포맷의 USB와 외장하드를 사용하고 싶어 질문했던 지인들에게 추천해줘야겠습니다.
[관련글]
- 맥에서 한글 맞춤법 검사, 맞춤법 검사기 단디 설치와 활용법
-
2015.02.10 10:50 신고
음.. 암만해도 맥을 쓸 것 같지 않아서.. 걍 윈도 쓰지 뭘 그리 어렵게 거쳐야할 경로를 늘리고 그래..라고 우겨봅니다.(시집도 안간 애가 할망구가 되고 있어!!!!!!!!!!!!!!!!!!!!!!!!!!)
그냥 하드를 뽑는 터프한 짐순이는 저거 쓰면 낭패겠군요.-
2015.02.10 16:27 신고
ㅎㅎㅎ 자기 편하거 쓰면 되는거죠~
윈도는 8에서 너무 놀라서;;; 10 정식 가까워지면 경험해봐야죠~
사실 저도 USB 같은거 그냥 막 뽑는;;;;
-
-
si2015.04.22 11:22
제가 잘못해써 언마운트를 안하고 빼버려서 안읽히는 오류가 생기는데 해결하는방법은없나요?? ㅜㅜ
지우고 다시깔아도안되네요 ㅜㅜ-
2015.04.22 11:27 신고
이게 어플 자체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아니라 마운트 시키는 장비에 기록이 남아서 그런 듯 합니다.
다른 곳(PC등)에서 언마운트(안전하게 제거) 등을 해주시고 다시 본인의 컴퓨터에서 시도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
-
sh2015.08.02 03:11
깔고서 실행을 했는데 마운티를 실행해도 위의 바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하드를 꽂으니 위에 알림만 나옵니다ㅜㅜ 어떻게 언마운트하고 하드 뽑아야 하나요ㅜㅜㅜ
-
2015.08.02 12:36 신고
탐색기나 화면에 마운트된 매체에서 마우스(트랙패드) 오른쪽 버튼 트랙패드 눌러보셨나요?
-
-
윤수영2015.08.25 19:15
유용한글 정말 잘봤습니다!!
마운티 정말 잘쓰고있는데요~!
외장하드에 덮어쓰는게 잘되다가 한 1~2분 후엔 자동으로 쓰기권한이 사라져서
잘안되요 ㅠㅠ 왜그런지 알수있을까요??-
2015.08.25 19:18 신고
마운티 자체만으로는 그런 경우는 제가 겪어보질 못했습니다.
혹시 USB 확장을 쓰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확장할 경우 인식이 조금 불안정해서 그런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더군요.
아니면 주로 사용하시던 포트 이외의 다른 포트로 꽂아서 확인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
윤수영2015.08.26 18:31
확장을해서 쓰진 않았어요!!
근데 마운티가 잘 작동하는데..
왜 쓰기가 안될까요 ㅠㅠ 폴더 가져다놓으면 +표시로 쓰기가능상태인것 같은데
막상 놓으면 '폴더명'에 있는 일부 데이터를 읽거나 기록할수 없기 때문에 해당 finder가 작업을 완료할수 없습니다
이렇게 떠버리네요 ㅠㅠ-
2015.08.26 18:34 신고
흠... 그렇다면 외장하드가 혹시 어떤 포맷으로 포맷되었나요?
맥에서만 쓰셨다면 상관없지만 윈도우랑 호환해서 쓰신다면 하드포맷 문재일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
mini2018.06.11 00:38
다른건 잘 작동되는데 설정해놓은 색 태그를 없애놓으면 나중에 다시 초기화 됩니다...
연결해놓은 상태로 태그 입력, 수정, 삭제는 되는데, 추출 후 재연결하면 입력해놓은 태그는 입력되어있는데도 삭제해놓은 태그는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네요ㅠㅠ
혹시 조언을 구할 수 있을까 해서 댓글 남깁니다!-
2018.06.11 01:43 신고
태그 관련해서는 저도 테스트를 해보지 않았습니다.
다만, 마운티를 이용하는 하드를 다른 곳에서(특히 윈도우)에서도 함께 사용한다면 mini님이 질문 주신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을 듯 합니다. OS에서 서로 인식하는 태그가 달라서 뒤섞일 수 있기 때문이죠.
-
-
나그네2020.10.03 17:28
자꾸 마운티라는 어플 이름과 홈페이지 주소를 까먹어 검색해서 들어오곤 했는데
댓글보고 관리자분꼐서 고생하신다고 느껴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려고 댓글 남깁니다.
그리고 여러분 맥에서 NTFS 파티션을 주사용 하드로 쓰는거는 스포츠카 타고 핵과속운전 하는데 안전벨트 안매고 타는거랑 똑같습니다.